관련 포스팅 Java HashMap의 내부 동작 - 이론편 Java HashMap의 내부 동작 - 실전편 Java HashMap의 내부 동작 - 해시 버킷 개수 조정 이번 글에서는 자바의 HashMap의 성능을 위한 해시 버킷의 개수에 관련해 알아보자 해시 버킷 개수 조정 우선 저번 글에서 확인하였듯이 HashMap에서는 데이터를 해시버킷에 나누어 저장해둔다. 여기서 해시버킷의 인덱스 계산을 "X.hashCode() % M(해시 버킷의 개수)"을 통하여 진행하는데 만일 해시버킷의 개수가 적다면 데이터가 증가할 수록 더 많은 해시충돌이 발생할 것이고, 이는 성능 저하로 이어지게 된다. 이를 방지하기 위해 HashMap에서는 데이터 개수가 "load factor(기본값 3/4) * 현재 해시 버킷의 개수"에..